보험용어바로알기 3

보험용어 바로알기(17)-공시이율 VS 평균공시이율 VS 최저보증이율

이율 너는 뭐냐보험용어는 알면 알수록 조금은 더 어려운 용어를 쓰는 듯 하다. 사실상 조금은 전문영역이라 그런 듯 하다. 하지만 우리는 생각보다 보험용어에 대해 간과하며 본다. 그래서 조금이라도 이해 될 수 있게끔 설명하고 싶어서 만든 블로그이니 조금은 초심자 느낌으로 봐주면 좋을 듯 하다. 이율이란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말한다. 다른 말로는 이자율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. 연간 이자율을 의미하며, %로 표시한다. 조금 더 들어가면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or 비율이라고 말하는 금리도 개념적으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.※ 따라서 금리 부담이 작다 크다라고 할 경우에 금리는 이자를, 금리가 높다 낮다라고 할 경우의 금리는 이자율을 의미하게 된다. 그렇다면 보험에서 말하는 이율들을 살펴보..

보험용어 바로알기(13)-갱신형 vs 비갱신형

갱신형vs비갱신형 너는 뭐냐보험을 가입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부분 중 하나는 갱신형과 비갱신형의 차이점이다.연금보험 쪽만 제외하고는 갱신형과 비갱신형이라는 개념이 있는데 보험 담보가 갱신형인 경우가 있고, 상품 자체가 갱신형이라는 개념이 있다. ✓ 보험담보가 갱신형인 경우 언제 갱신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!(생각보다 괜찮은 담보들이 가격이 올라간다.) ✓ 상품자체가 갱신형인 경우 비갱신형일 때 얼마인지도 확인하는 것이 중요!(결국 내가 보험 필요한 때는 나중에 나이 들 때 필요할 수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은데 그 때 갱신형인 경우 이미 보험료가 너무 높아서 납부를 못하고 정작 필요할 때 쓰지 못할 수도 있다.) 먼저 갱신형vs비갱신형을 보자면위의 그래프처럼 처음에는 저렴하지만 지속해서 올라가는..

보험 용어 바로알기(1)-보험자? or 피보험자?

보험 너는 뭐냐? 보험은 사실 우리 삶에서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인데 이전부터 등쳐먹는 과거가 있었기에 이미지와 신뢰 부분에 있어서 좋지 않다. 그렇기에 사실상 마음의 벽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. 그 벽을 조금이나마 부드럽게 만들고 싶어서 만든 블로그다. 보험자? or 피보험자?보험자? 보험회사에서 만든 용어이므로 보험용어는 사실 일반인이 알아듣기에는 조금 어려울 수 있다. 따라서 본인도 고심 끝에 일반 소비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이야기해본다.   보험자는 단순히 이야기해서 보험회사를 의미한다.보험자라는 느낌에서 내가 보험자가 된 느낌이지만 보험자는 보험을 가입시켜주는 자라고 보면 좋을 듯 하다. 다른 말로는보험을 제공하는 주체, 보험금 지급의무를 부담하는 자, 보험사업을 영위하는 자라고도 볼 수 있..